본문 바로가기

종교2

생활 속의 불교용어들, 이판사판, 살림, 찰나, 건달, 명색, 식당, 야단법석, 주인공, 상속, 화두, 나락, 출세, 묵인, 면목 생활 속의 불교용어들, 이판사판, 살림, 찰나, 건달, 명색, 식당, 야단법석, 주인공, 상속, 화두, 나락, 출세, 묵인, 면목 우리가 많이 쓰고 있는 단어 중에 불교에서 온 단어들이 있습니다. 오... 이 단어가 불교용어였어 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몇 가지 가져다 둡니다. 이판사판 理判事判 이판사판 이다. 마지막까지 갔다. 될 대로 돼라 정도의 뜻 이판승, 사판승에서 온 말 이판승이란 참선, 경전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 공부승, 사판승이란 사찰을 운영하며 재산을 관리하는 스님 산림승, 이판사판이 현대에 와서 마지막 궁지에 몰렸을 때 사용하게 된 계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조선시대 불교가 탄압받으면서 해당 용어가 지금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살림 집안 살림 등으로 표.. 2021. 12. 9.
통일교 합동결혼을 후회하는 일본인 아내 이야기 통일교 합동결혼을 후회하는 일본인 아내 이야기 통일교를 통해 합동결혼을 한 일본 아내가 후회하는 내용을 글을 보아 간단 요약해서 가져다 둡니다. 통일교 믿어서 한국에 온 일본여자의 일기 통일교회에서는 참 부모한테 잘 하라고잘하라고 가르치며, 시부모한테도 잘하라고 가르친다. 여기서 나의 경우는 시부모는 한국사람. 통일교에서 합동 결혼식에서 일본과 한국의 조합은 최고의 평화를 만드는 가정이라고 했다. 그것을 믿고 왔는데, 내가 바보였다. 결혼한 한국남자는 그냥 여자랑 결혼을 하고 싶었던 거 같다. 교회도 문선명도 하나도 모르고 믿지도 않았다. 그래서일까 여자에게 함부로 강제로 대한다. 여자가 어떻게 살아왔는지도 모르고, 일본어도 모르고, 한국드라마 좋아하냐는 이야기를 하며, 사랑이면 모든 걸 할 수 있다고 .. 2021. 11. 6.